반응형

이전 글에서 우리 아이들의 초등학교 전학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서 포스팅을 했더니 아이가 야구를 하는 경우에도 동일하냐는 질문을 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아예 야구를 하는 초등학생을 둔 부모님들이 참고 할 수 있도록 이번에 알게 된 전학 절차와 필요 서류에 대해 정리 해야할 필요성을 느꼈다.

우리 가족도 복합적인 이유로 결국 이사와 전학을 선택하게 된 케이스지만 이것 저것 궁금해서 물어보시는 분들 사정을 듣다보니 (1) 취미반으로 건강하게 뛰놀으라고 시켰고, 그렇게 시작했던 아이가 생각외로(?!!!) 기대보다 야구를 너무 잘 한다거나(행복한 고민), (2) 아이가 스스로 꿈을 야구선수가 되고 싶다며 야구로 진로를 굳히려는 듯 할때(중학교 진학에 대비해야 하기 때문에), 그리고 (3) 팀 분위기, 훈련방식, 훈련 환경 등 아이가 야구를 하는 환경을 바꾸어줘야 하나 고민이 될때 이 세 가지 경우로 추려졌다.

아이가 몇 학년인지, 기존에 어디서 야구를 하고 있었는지, 전학하고자 하는 학교가 위치한 지역이 어디냐에 따라 일반 초등학생 전학 절차와는 차이가 나는듯 해서 내가 생각하기에 기준점이 될만 한 내용으로 구분지어 정리 해 본다.

1. 유소년/리틀팀 -> 초등학교 야구부

베이스볼 아카데미, 클럽, 리틀야구단에서 야구를 하다가 초등학교 야구부로 팀을 옮기려고 전학하려는 경우

2. 초등학교 -> 초등학교

야구부가 있는 초등학교에서 운동하다가 다른 초등학교 야구부로 전학하려는 경우

3. 야구 초등 전학 절차

(1) 가려고 하는 초등학교 야구부 입단테스트
(2) 오케이/합격받으면
(3) 그 학교 배정받는 학군 내 주소지에 이사할 집 구하기 (4) 부동산 계약 체결
(5) 계약서 원본들고 주민센터가서 전입신고
(6) 전입신고 시 받은 전입확인증, 주민등록등본 지참 학교 교무실 방문: 학교 양식 작성, 반 배정 받고 반으로 올라가면 끝.

4. 팀 이동으로 인한 출전정지 여부 및 기간

위 1번의 경우: 없음, 단 선수등록을 했던 아이일 경우 스포츠지원포털 기록을 삭제하고 다시 신규로 등록해야하는 처리기간이 소요됨.
위 2번의 경우: 초등학교 - 초등학교 이적 시 6개월

5. 야구하는 아이 전학 시 주의사항

(1) 야구부 있는 학교 선택이 먼저.

아이 학년이 5학년 또는 6학년 일 경우에는 가고 싶다고 무조건 원하는 초등학교 야구부에 들어갈 수 있는 시스템은 아니다. 6학년이 초등 야구부에서는 실제 주전을 뛰는 학년이고 초등야구에서 말하는 저학년은 1~4학년이 아닌 5학년이라고 한다. 그래서 이미 주전으로 뛰고 있는 6학년과 바로 다음해에 주전으로 뛰어야 하는 5학년 수가많은 팀에서는 아이가 특출나게 잘하거나 좌완이거나 하는 식의 엄청난 실력 또는 기존 팀 구성에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 않는 한 더이상 6학년, 5학년 야구부원을 받지 않는다는 식의 답변을 들었다. 그래서 아이가 고학년일수록, 야구부원이 많은 학교로는 전학이 쉽지 않으니 우리 아이가 즐겁게 야구를 할 수 있을 학교로 잘 알아보고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다.

(2) 학군 내 주소로 이사

학교가 정해지면 이사할 주소지에서 배정되는 초등학교가 맞는지 꼭 학구도안내서비스에서 확인하고 해당되는 학군 내에 있는 집을 구해야 한다.

(3) 반드시 세대주와 세대원 모두 전입신고

초등학교 소재지에 따라 이 점은 약간씩 차이가 있었는데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겠지만 야구로 중학교 진학을 고려한다면 6학년 1학기 즈음까지는 배정받을 중학교와 같은 ‘구’내의 주소지에 세대주와 세대원이 같이 등재된 주민등록등본을 학교에 제출 해 두어야 한다. 특정 학군들은 입시, 진학을 위해 엄마와 아이들만 세대를 분리하여 전입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는 교육청에서 랜덤으로 실시하는 현장실사 대상이 되기도 하고 초등 - 중등 야구 진학에 필요한 사항이니 초등 야구부 전학을 고려하고 있다면 최소 중학교 진학까지도 고려해서 신중하게 결정할 필요가 있다.


반응형